해당 영상은 고려 남쪽의 ‘탐라’ 위치에 대한 주장을 바탕으로, 기존 통념(제주도설)이 아닌 **하이난 섬(해남도)**이 탐나라며, 이를 다양한 사서와 지리적 근거로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주요 요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상 요약
-
탐라 위치에 대한 재해석 (00:00~00:44)
- 고려 남쪽 지도에서 나주, 전주, 강남도, 해양도 등을 설명하며, "탐라"가 전통적으로 알려진 제주도와는 다르다고 주장.
-
베트남~홍콩 연안의 ‘해양도’ 가능성 (00:44~01:33)
- 베트남 하이퐁, 하이지 등 한자 지명 분석으로 해양 경로와 탐라의 위치를 남중국해로 설정.
-
하이난 섬이 탐나라면? 지리적/화산 지형 근거 제시 (01:33~02:12)
- 하이난 섬(해남도)은 동남쪽에 위치하고, 화산 폭발 이력도 있으며, 지형이 탐라의 조건과 부합한다고 주장.
-
원사 기록: 탐라와 제주 분리 기술 (02:58~03:39)
- 《원사》에서 탐라와 제주가 별개로 언급되고, 탐라 정벌에 동원된 병력(12,000명)이 제주 인구 대비 지나치게 많다는 점을 근거로 탐라≠제주 주장.
-
‘일본=필리핀설’, ‘남성=운남성설’로 연결 (02:12~04:20)
- 탐라(하이난)는 남성(운남성)과 일본(필리핀) 사이의 해상 요충지로서 전략적 가치가 컸음을 강조.
-
탐라는 백제의 부용국? 신라보다 가까운 위치 강조 (05:03)
- 탐라가 백제의 영향권에 있었으며, 지리적으로 신라보다는 백제와 가까워 부용국이 되었을 가능성 제기.
-
《세종실록》, 《원사》 등 사료를 통한 비교 분석 (03:39, 05:47)
- 고려·조선 시대 사서에서 기술된 인구, 병력, 위치 정보를 통해 탐라가 제주가 아님을 강조.
-
수역 설치 근거: 암록강~양촌~해구까지의 연결 (06:32~07:13)
- 탐라를 기준으로 암록강까지 연결된 13개 수역 설치 기록에서 지명들을 현재 지도로 해석하며 하이난설 뒷받침.
-
중국 행정구역명 분석: ‘강서성’의 지명 오류 지적 (07:54)
- 강서성은 실제로 강(양자강)의 남쪽에 위치하므로 강남성이 되어야 한다며, 행정지명 왜곡 가능성 제기.
-
결론: 탐라는 제주가 아닌 하이난일 가능성 강조 (전체 요약)
- 다양한 사서, 지리정보, 인구군사력, 지명 해석 등을 근거로 “탐라는 하이난 섬(해남도)”이라는 견해를 제시.
영상 내용관련 자료
《세종실록 지리지》 전라도 제주목 조에는 조선 초기 제주 지역의 인구와 군사력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습니다. 이는 탐라(耽羅)로 알려진 제주도의 당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1제주 그랜드 문화+1
《세종실록 지리지》 제주목 인구 및 군사력 기록
戶五千二百七,口八千三百二十四,軍丁二千六十六名。
馬軍八百四十三名,步軍一千二百二十三名。사료방역원
이는 한문 원문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 호수(戶數): 5,207호
- 인구(人口): 8,324명
- 군정(軍丁): 2,066명
- 마군(馬軍): 843명
- 보군(步軍): 1,223명네이버 블로그+1미디어제주+1
이 기록은 조선 초기 제주 지역의 인구와 군사 조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특히, 군정 수가 전체 인구 대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제주가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시사합니다.
중국 고지명 해석 및 대응 정리
지명 한자 | 현대 지명 | 의미 (해석) | 지리적 위치 | 역사적 역할 |
---|---|---|---|---|
海口 (하이커우) | 하이난성 성도 | ‘바다 입구’ (항구 입구) | 중국 하이난섬 북부 | 해남섬 중심 도시, 해상 무역·군사 요충 |
海防 (하이퐁) | 베트남 항구 도시 | ‘바다를 방어함’ (해방) | 베트남 북부, 하노이 근처 | 프랑스 식민기 요새도시, 과거 중국계 지명 |
海陽 (하이양) | 중국 산둥성 도시 | ‘바다 쪽 양지’ (해안 양지) | 산둥 반도 동쪽 | 명·청 해안 방위 거점, 한자상 ‘해양도’ 의미 가능성 |
추가 분석
- 해구(海口): ‘구’(口)는 일반적으로 입구, 항구, 어귀를 의미합니다. 즉, “해구”는 바다로 들어가는 입구, 전략적 요충지로서 자연스러운 지명.
- 해방(海防, 하이퐁): 바다를 방어한다는 의미로, 군사적·해군적 성격이 강한 이름입니다.
- 해양(海陽): 바다를 향한 ‘밝은 방향’이라는 뜻으로, 지형적으로 남향 해안이나 양지 바다 마을에 붙여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요약 및 활용
- 탐라의 위치를 비정할 때, 이들 지명이 가지는 한자 의미와 지정학적 위치를 참고하면,
- 탐라 = 해남섬(하이난)
- 해구 = 하이커우
- 해양도 = 해양시 또는 베트남 북부 연안 등의 주장에 설득력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