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보고] 13분 요약, [ 신라 우산국 ]을 대륙에서 찾다. 울릉도가 아니네?

13분 요약, [ 신라 우산국 ]을 대륙에서 찾다. 울릉도가 아니네?? [#신라장군이사부]

역사를 조금만 공부 해 보면 우산국이 한국의 울릉도가 아님은 쉽게 알 수 있는데
진짜 위치가 어디인지는 증명하기 쉽지 않다.

유튜버 책보고가 중국 지도와 고대지도 사서를 분석해서 분석한 우산도의 위치 영상.

:pushpin: 요약 (타임스탬프 포함)

  1. 중국 고대 사서에 나타난 삼국의 지명들 (00:02~02:14)
  • 중국의 정사(正史)인 25사에 신라·백제·고구려의 지명이 다수 기록되어 있음.
  • 삼국사기와 비교해도 대륙에 있는 해당 지명들이 실제 존재한다는 주장을 펼침.
  1. 대륙에 존재하는 성곽과 무덤 유적 (03:18~04:22)
  • 신라와 백제의 성들은 돌로 지은 석성으로, 대륙에서만 흔적이 남아 있음.
  • 산둥반도, 양쯔강 유역에 백제·신라 관련 유적지와 동일 지명이 발견된다고 설명.
  1. 백제 멸망 후 당나라의 행정구역 설정 (04:22~05:25)
  • 백제 멸망 후 당이 설치한 ‘오덕부’와 같은 행정 명칭이 여전히 사용 중임.
  • 삼국사기에도 신라와 발해가 백제의 옛 땅을 나눠 가졌다고 기록.
  1. 신라의 무역과 기술, 나침반 이야기 (05:25~06:28)
  • 신라는 비단무역과 나침반 관련 기술 중심지였으며, 나침반 자성이 신라 영토에서 출토되었다는 주장.
  • 당나라가 신라에 자성을 요청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있음.
  1. 신라의 동경이 실제 존재하는 장소 (06:28~07:32)
  • ‘신행 선사’라는 인물의 탁본에서 신라의 동경이 대륙에 존재했음을 시사.
  • 한국 사학계는 이 기록을 무시하고 한반도의 동경(고려시대)으로 해석.
  1. 청해진 위치 논쟁: 완도 vs. 산둥 (07:32~08:37)
  • 장보고의 청해진이 실제로는 중국 산둥반도에 있었고, 완도 청해진은 후대의 창작이라는 주장.
  1. 우산국의 실제 위치는 울릉도가 아닌 중국 대륙? (08:37~10:45)
  • 1948년 제작 중국 지도 및 삼국유사 등 고문헌을 근거로 우산국의 위치는 ‘통해’라 불리는 지역(현재 동중국해 근방)이라는 해석 제시.
  • ‘우산국’이라는 명칭이 쓰인 지도와 지명이 존재함.
  1. 지명을 통해 고대 국가의 흔적 찾기 (10:45~12:55)
  • ‘신’자가 들어간 지명, 김씨 마을, 물가의 성터 등으로 신라/백제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
  • 구글 지도로 해당 지역들을 탐색해보기를 권유.
  1. 결론 및 예고 (12:55~)
  • 다음 영상에서 신라 부모 왕의 이동 경로 및 외형적 특성에 대해 다룰 예정이라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