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라 말기의 혼란과 후삼국 성립 배경 (01:04)
- 신라는 왕위 다툼으로 혼란에 빠졌고, 평균 재위기간이 7.5년에 불과.
- 중앙 통제력이 약화되자 지방 호족들이 각자 세력을 형성.
- 견훤의 등장과 야망 (03:12)
- 신라 장군이던 견훤은 전라도에서 민심을 얻으며 세력 확장.
- 전주를 기반으로 후백제를 창건(900년), 삼국 중 가장 먼저 나라를 세움.
- 출생 설화와 권위 강화 전략 (08:36)
- 견훤은 용과 호랑이 설화로 자신의 비범함을 강조.
- 출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성씨 변경 등 정통성 강화 시도.
- 후백제의 정통성 프레임 전쟁 (11:48)
- 마한과 백제의 계승자임을 자처하며 신라를 ‘작은 아들’로 폄하.
- 전라도·충청도의 호족과 민심을 얻는 데 성공.
- 927년 경주 공격과 후백제의 전성기 (12:51)
- 신라 수도 경주를 기습 공격해 경애왕을 자살로 몰아감.
- 후백제의 군사력과 전략적 우위를 과시한 사건.
- 공산 전투와 후백제의 실력 과시 (16:04)
- 왕건의 군대에 큰 타격을 주고, 고려보다 우세했던 국력 증명.
- 930년 고창 전투 패배와 몰락 시작 (17:06)
- 고려군에 대패하며 후백제의 세력 약화.
- 견훤은 후계자 문제로 고민하고 막내 아들 금강을 지목.
- 신검의 반란과 견훤의 금산사 유폐 (18:11)
- 장남 신검이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를 금산사에 유폐.
- 견훤은 나주를 통해 고려로 망명.
- 왕건과의 동맹 및 후백제 멸망 (21:27)
- 견훤은 고려의 왕건과 손잡고 후백제 공격에 앞장서며 최후의 싸움.
- 936년 일리천 전투에서 후백제 패배, 신검 항복.
- 견훤의 최후와 역사적 의미 (24:37)
- 왕건은 견훤의 복수심과 명분을 적절히 활용했지만 정치적으로는 견제.
- 견훤은 논산에서 생을 마감. 후삼국 시대의 문을 연 자이자 닫은 자.
한반의반도 남부에 교묘하게 끼워맞춘 역사를 퍼뜨리는 영상
역사를 잘 모르셔서 그런거니까 너무 욕은 하지 않으려 합니다.